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유대인에게 자식은 소유물 아닌 하느님이 준 선물"

홍익희(70) 전 세종대 교수는 자타가 공인하는 '유대인 전문가'다. 구약성경의 아브라함부터 현대의 월스트리트에 이르기까지 유대의 경제사를 파고들며 '유대인'을 조명하기도 했다. 실리콘밸리에 있는 혁신적 기업들도 사실 유대인의 창의성에서 출발한 예가 상당수다. 지난 20일(한국시각) 한국 서소문에서 홍 교수를 만났다. 그에게 '유대인 창의성의 뿌리'를 물었다.     -왜 '유대인'에 관심을 갖게 됐나.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에서 32년간 근무했다. 그중 18년은 해외근무였다. 콜롬비아.브라질.스페인.미국 뉴욕.파나마.멕시코.이탈리아 등 7개국에서 근무했다. 무역관 일을 하다 보니 가는 곳마다 시장을 들여다봤다. 그런데 유통과 서비스업의 핵심은 죄다 유대인들이 잡고 있었다. 콜롬비아는 한 줌도 안 되는 유대인 몇백 명이 그 나랏돈을 꽉 잡고 있더라. 뉴욕은 아예 유대인의 도시더라."     -뉴욕이 왜 유대인의 도시인가.   "역사를 보면 안다. 뉴욕은 유대인이 건설한 도시다. 지금도 뉴욕은 유대인에 의해서 움직이고 있다. 금융이든 패션이든 뮤지컬 산업이든 유대인이 다 잡고 있다. 미국의 초대 국회와 초대 대통령이 선출돼 취임한 게 어디인지 아나. 월 스트리트다. 지금도 월 스트리트를 움직이는 힘은 유대인이다. 그래서 '유대인' 연구를 시작했다."     -유대인은 한 마디로 어떤 민족인가.   "한 마디로 '배울 점이 많은 민족'이다. 사람에 따라 유대인에 대한 호불호가 갈리기도 한다. 그런데 세계 금융과 서비스 산업을 주도하는 사람들이기에 우리도 알아두어야 한다. 그들과 경쟁하려면 그들의 장점을 알아야 하지 않겠나."     홍 교수는 "유대인의 힘은 교육에서 나온다"고 했다. 특히 유대인의 자녀 교육법에는 놀라운 통찰이 담겨 있다고 했다. 아이를 키우는 한국의 부모들도 가슴에 새겨둘 만한 대목이 곳곳에 있다고 했다. 홍 교수는 "유대인의 자녀 교육은 성인식 이전과 이후로 나뉜다"고 말했다. 남자아이는 13살 여자아이는 12살에 성인식을 갖는다.     -성인식이 왜 중요한가.   "자식을 소유물로 보는 한국의 부모도 있지 않나. 유대인은 다르다. 그들은 자식을 하느님이 주신 선물로 본다. 아이를 맡아서 기르다가 12살 13살이 되면 다시 하느님께 돌려드린다고 생각한다. 유대인 부모의 자식 교육은 성인식 때까지만 이루어진다. 우리로 치면 중학교 입학하는 나이까지다. 한국은 그때부터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한 부모와 자식 간 전쟁이 시작되지 않나."     -성인식 후에는 어찌 되나.   "그때부터는 아이를 '온전한 성인'으로 대한다. 부모가 개입할 여지가 없어진다. 성인식을 치른 아이는 이제 하느님과 독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때부터 부모는 자녀 교육의 책임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짐을 벗는다. 대신 성인식 전까지는 자녀 교육에 열과 성을 다한다."     -유대인 부모는 어떤 식으로 열과 성을 다하나.   "아이가 태어나면 엄마는 반드시 모유 수유를 해야 한다. 이스라엘의 유대인 기관이나 기업은 의무적으로 모유 수유 시설을 갖추어야 한다. 만약 유대인 엄마가 모유 수유를 하지 않으면 회당(유대교 집회 장소)에서 제적을 당한다. 유대 공동체에서 쫓겨나는 거다. 왜 그럴까. 유대인은 갓난아이가 엄마의 젖을 물면서 느끼는 믿음.신뢰.사랑의 느낌을 아주 중요하게 여긴다. 아이와 엄마의 애착을 중시한다."     -유대인 아빠는 어떤 역할을 맡나.   "유대인이 결혼하면 1년간 집안 살림과 경제를 여자가 책임진다. 남자는 히브리 학교에 들어가 공부를 한다. 거기서 유대 전통과 유대교에 대해 배운다. 아빠가 아이에게 그걸 가르쳐야 하니까. 일종의 '아버지 학교'다. 아빠의 자녀 교육은 밥상머리에서 이루어진다. 유대인 아빠는 아이의 성인식 전까지는 절대 바깥에서 저녁 외식을 하지 않는다. 반드시 집에 와서 아이와 함께 저녁 식사를 하며 이야기를 나눈다. 하느님 이야기 조상 이야기 아빠가 경험한 이야기 등이다. 이때 아빠는 답을 주지 않고 주로 질문을 던진다. 아이가 스스로 생각하게끔 한다."   아빠의 자녀 교육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아이가 잠들기 전에 꼭 15분 이상 책을 읽어준다. 글자를 모를 때부터 말이다. 이 때문에 보통 아이들이 800~900단어를 인지할 때 또래 유대인 아이들은 1500단어 이상을 인지한다. 모두 밥상머리 교육과 베갯머리 교육 덕분이다.     -아이가 커서 유치원에 갈 때는 어떤가.   "유치원에 보낼 때는 꼭 다른 아이의 강점만 보라고 가르친다. '사람은 모두 강점과 허물이 있다. 강점은 속에 들어 있기 때문에 눈에 잘 보이지 않는다. 그걸 찾기 위해 네가 친구보다 말을 적게 하고 친구의 말을 더 많이 들어라. 사람에게 입이 하나이고 귀가 두 개인 이유다. 말하기보다 듣기를 두 배로 하라'고 일러준다."   아이를 유치원에 보낼 때 유대인 부모가 건네는 또 하나의 중요한 가르침이 있다. "남의 험담을 하지 마라." 홍 교수는 "절대로 친구 험담을 못 하게 한다. 유대 속담에 '살인은 한 사람을 죽이지만 험담은 세 사람을 죽인다'는 말이 있다. 험담하는 사람 험담 당하는 사람 험담을 듣고 말리지 않는 사람. 이렇게 셋이다. 그래서 유대인 사회에서는 절대 다른 구성원을 험담하지 않는다. 그래서 신뢰가 생긴다. 오랜 세월이 흘러도 유대인 공동체의 고리가 끊어지지 않는 이유다"라고 강조했다.     -그럼 유대인 학교에는 따돌림이 없나.   "유대인 학교에는 '왕따'가 있을 수 없다. 유대인의 언어 히브리어에는 '자선'이라는 단어가 없다. 대신 '체다카'라는 말이 있다. 체다카는 공동체의 약자를 돌보는 일이다. 자선은 내가 해도 되고 안 해도 되는 선택적 관용의 의미다. 체다카는 다르다. 유대인이 인간으로서 마땅히 해야 하는 도리로 받아들인다. 만약 공동체 안에 약자가 있으면 그가 자립할 수 있도록 공동체 구성원 전체가 도와야 한다."    설령 '외톨이'가 있다 해도 괴롭힘의 대상이 아닌 건가.   "그렇다. '외톨이'가 있다 해도 도움의 대상이지 괴롭힘의 대상이 될 수가 없다. 그래서 유대인 학교에는 '왕따'가 없다."   이말 끝에 홍 교수는 "유대인은 베스트(Best.최고)를 지향하지 않고 유니크(Unique.독창성)를 지향한다"고 말했다.     -둘은 무엇이 다른가.   "아이의 성적을 보면 잘하는 과목과 못하는 과목이 있다. 한국의 교육은 베스트를 지향한다. 그래서 못하는 과목의 성적을 올리기 위해 아이를 학원에 보낸다. 유대인은 다르다. 못하는 과목의 성적을 끌어올리려고 하지 않는다. 대신 아이가 잘하는 과목을 갈고 닦아서 세상에서 우뚝 서는 사람이 되라고 한다. 베스트는 한 반에 한 명만 나오지만 유니크는 한 반의 모든 학생이 될 수 있다."     백성호 기자유대인 하느님 유대인 부모 유대인 아빠 유대인 엄마

2022-08-01

[열린 광장] 인성 교육이 먼저다

 한인 2세 중 많은 이들이 아이비리그 대학을 졸업한다. 그러나 통계에 의하면 그들이 주류 사회에 들어가면 3년을 버티지 못하고 약 70%가 탈락한다고 한다. 가장 큰 이유는 한인 가정에서 자녀들의 IQ교육에만 치중하고 인성교육에 소홀했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 연방법무부 차관보에 지명된 아들은 “미국에 똑똑한 사람들이 너무 많다”며 “그 중에 누구를 선택해야 하는 데는 인성교육에서 결정이 난다”고 말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인성 교육을 시켜야 하는가.  필자는 유대인 교육을 연구했다. 유대인 랍비 가정의 안식일에 참석한 후 가장 크게 깨달은 건 자녀의 교육에서 아버지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그 후 유대인 가정의 아버지처럼 아들들의 교육을 아내나 교회 혹은 학교에만 맡기지 않고 직접 챙기기 시작했다. 가정에서 칠판을 사다 놓고 한국인의 인성교육과 유대인을 모델로 한 성경적인 쉐마교육을 가르쳤다. 필자가 연구했던 구약의 지상명령, 성경적인 가정성전, 어머니 교육, 성교육, 효 교육 및 고난의 역사교육 등을  가르쳤다.     아버지의 권위를 내려놓고 아내와 자녀들과 쌍방 대화로 소통하면 자비로운 아버지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아들들도 아버지를 이해하기 시작한다.     유대인 부모가 자녀들에게 세계 어디를 가나 유대인의 정체성을 유지한 것처럼 한국인의 정체성을 갖도록 한국인으로 키워야 한다. 한국인 가족의 가치관과 전통적인 수직문화(뿌리교육)도 가르쳐야 한다. 유대인이 고난의 역사교육을 강조하는 것처럼 한국 고난의 역사도 많이 알려야 한다.     필자의 경우는 아이들을 자주 한국에 데리고 나가 천안 독립기념관과 서대문 형무소에 가서 일제 식민지 시대의 일본의 만행을 보여주곤 한다. 부산 유엔군 묘지와 거제도 포로수용소에 데리고 가서 북한 공산주의자 김일성의 잔혹함도 보여주었다.     물론 당시 미국의 도움이 얼마나 컸는지 미국에 대한 고마움도 가르쳤다.     유대인이 성공한 가장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고난의 역사를 경험했기 때문이다. 고난은 인간을 일찍 철 들게 한다. 그리고 자립심을 키워준다. 그래서 일부러 자식들에게 고생을 시키는 것도 필요하다. 고난은 축복의 전주곡이다. 반면 풍요는 저주가 될 수 있다.     자녀교육에 대해 전혀 모른다는 이들에게 필자는 이렇게 권한다. “자녀들을 가난하게 키우세요. 그리고 효를 가르치세요. 그러면 70%는 성공합니다.”     그리고 약자를 배려하고 돕는 교육을 시켜야 한다. 필자의 경우는 아이들에게 홈리스들을 돕는 활동에 참여하게 했다. 또한 탈북자 선교회에서 북한의 인권 개선을 위해 자원봉사하도록 했다.     자녀들의 먼 장래를 볼 때 학교의 성적은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1등을 권하거나 일류대학에 들어가도록 강요할 필요도 없다. 거듭 강조하지만 필자는 부모들에게 IQ교육보다는 인성교육에 치중하라고 조언하고 싶다. 현용수 / 쉐마교육연구원 원장열린 광장 인성 교육 유대인 교육 인성 교육 유대인 부모

2022-03-01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